| 지표설명 | 국민연금의 급여유형은 노령연금, 장애연금, 유족연금, 반환일시금으로 구분 | |||||||
| 측정 산식 | 각 급여종별 수급자 수 ÷ 전체 수급자 수 × 100 | |||||||
| 단위: 명, % | ||||||||
| 구분 | 총수급자 | 연금 | ||||||
| 계 | 노령연금 | 장애연금 | 유족연금 | |||||
| 수급자수 | 비율 | 수급자수 | 비율 | 수급자수 | 비율 | |||
| 2010 | 56,118 | 52,902 | 42,444 | 75.6 | 2,123 | 3.8 | 8,335 | 14.9 | 
| 2015 | 79,108 | 75,013 | 61,292 | 77.5 | 1,978 | 2.5 | 11,743 | 14.8 | 
| 2020 | 112,730 | 108,589 | 90,499 | 80.3 | 1,879 | 1.7 | 16,211 | 14.4 | 
| 2021 | 122,861 | 118,818 | 99,726 | 81.2 | 1,836 | 1.5 | 17,256 | 14.0 | 
| 구분 | 총수급자 | 일시금 | ||||||
| 계 | 반환일시금 | 장애일시보상금 | 사망일시금 | |||||
| 수급자수 | 비율 | 수급자수 | 비율 | 수급자수 | 비율 | |||
| 2010 | 56,118 | 3,216 | 2,767 | 4.9 | 88 | 0.2 | 361 | 0.6 | 
| 2015 | 79,108 | 4,095 | 3,517 | 4.5 | 52 | 0.1 | 526 | 0.7 | 
| 2020 | 112,730 | 4,141 | 3,557 | 3.2 | 63 | 0.1 | 521 | 0.5 | 
| 2021 | 122,861 | 4,043 | 3,460 | 2.8 | 60 | 0.0 | 523 | 0.4 | 
| 자료: 국민연금공단(각 연도), 「국민연금통계연보」 | ||||||||